본문 바로가기

이더리움88

투자할 때 개별 코인을 선별하는 방법은? -차분남의 개별코인 선정방법- 1. 아직 시세분출을 하지 않은 코인 위주로 모니터링 2. 업비트 외 타 거래소에도 상장되어 있는지 확인 (바이낸스, 코인 베이스같은 글로벌 거래소일수록 좋음) 3. 시총이 너무 낮은 코인은 제외 (세력들의 설거지 타깃이 될 가능성이 높음) 위 3가지 조건에 충족된다면 -1시간봉, 4시간봉, 일봉을 체크 -최근 거래량이 많은지 체크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는지 확인) -단기 가격 변동이 심하지 않은지 체크 (단기 변동성이 심하지 않고 횡보하면 좋음) -개별 호재가 있는지 체크 (필수는 아니지만 있으면 좋음) 이러한 요소를 조합해서 차트가 무너졌거나, 거래량이 너무 없거나, 변동성이 심하면 패스 저는 이런 방법으로도 개별 코인을 선정합니다 100% 맞는 방법은 아니고 이런 방법.. 2021. 7. 31.
비트코인 10일 연속 상승–2017년 5월 불장이후 최장 이같은 연속상승기록은 2017년 5월이후 가장 긴 기록이다. 비트코인은 지난 20일 코인마켓캡 기준으로 2만9100달러선에서 저점을 기록한뒤 상승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비트코인은 21일 3만달러를 회복한뒤 26일부터 4만달러를 둘러싼 공방을 벌이면서도 종가가 시초가를 웃도는 상승행진을 이어왔다. 비트코인은 한국시간 31dlf 오전 10시43분 현재 코인마캣캡 기준으로 4만186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저점인 2만9100달러보다 43.8% 상승한 것이다. 2021. 7. 31.
비트코인 투자자라면 기억해야할 3가지 주말이지만 공부합시다. . 1. 2번째 사진과 같이 고래 입, 출금 신호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거래소(바이낸스, 코인베이스, 업비트 등) → 개인 지갑 = 호재 왜? 거래소는 코인을 사고팔 수 있는 공간이지만 개인 지갑은 매매를 할 수 없음 (금고 같은 개념) 거래소에서 지갑으로 옮기는 경우는 금고에 BTC를 보관하는 거랑 똑같은 개념이므로 ‘팔지 않고 홀딩’으로 이해하면 됨 예) 1,000 BTC CoinBase에서 알 수 없는 지급으로 입금 (거래소 → 지갑 = 호재) 개인 지갑 → 거래소 = 악재로 볼 수 있음 왜? 지갑에서 거래소로 옮기는 경우는 금고에 보관해뒀던 자산을 거래소에서 팔아버리겠다고 이해하면 됨. 예) 1,000 BTC 알 수 없는 지갑에서 Binance로 입금 (지갑 → 거래소 .. 2021. 7. 31.
중국 비트코인 채굴업체 8곳, 파라과이 이전 추진 비트코인 매거진에 따르면 중국계 비트코인 채굴기업 8곳이 사업장을 파라과이로 이전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새롭게 채굴기를 배치하는 데는 수년이 걸릴 수 있으며, 이전이 완료될 경우 50만대 채굴기가 배치될 전망이다. 파라과이 채굴기업 디지털 애셋 S.A. CEO Juanjo Benítez Rickmann은 "이중 한 업체는 비트코인 채굴기 9만대를 설치 중"이라고 전했다. 2021. 7. 31.
무디스, '비트코인 법화 지정' 엘살바도르 신용등급 하향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지정한 엘살바도르의 신용등급을 B3에서 Caa1로 낮췄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무디스는 엘살바도르의 정책결정 질 저하에 주목하며 "비트코인 법안 등으로 인한 지배구조 약화로 미국 등 협력국과의 긴장이 고조되고 IMF와의 재정지원 협정이 위태롭게 됐다"고 설명했다. 엘살바도르 비트코인 법은 9월 7일 시행될 예정이다. 일부 의원들은 이 법안이 엘살바도르 헌법을 위반한다고 주장하면서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2021. 7. 31.
코인 거래소 줄폐업 시작···비트소닉·CPDAX 중단·종료 서울경제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소닉과 코인플러그가 운영하는 거래소 CPDAX가 서비스 일시 중단·종료를 공지했다. 특정금융거래법(특금법)에 따라 거래소 줄폐업이 일어날 것이라는 예상이 제기된 가운데, 이 같은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비트소닉은 이날 오후 3시 텔레그램을 통해 “8월 6일부터 11월 30일까지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고 전했다. 비트소닉은 투자자들의 돈을 출금해주지 않아 고소를 당한 거래소다. 업계에서는 비트소닉이 사실상 폐업 수순에 들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CPDAX는 “지난해 11월 30일 거래·입금 서비스 중단에 이어서 오는 9월 1일부터 CPDAX 거래소에 보관 중인 암호화폐의 보관 및 온라인(실시간 지원) 출금 서비스 중단이 예정돼 있다”며 “이는 일시적.. 2021. 7. 30.
독일 기관 펀드, 다음 주부터 암호화폐에 최대 20% 할당 가능 8월 2일부터 독일에서 기관 투자 펀드인 스페셜펀드(Spezialfonds) 매니저가 운용 자산의 20%를 암호화폐에 할당할 수 있는 법안(The Fund Location Act)이 발효된다고 유투데이가 블룸버그를 인용해 보도했다. 당초 7월 1일 발효로 알려졌으나 발효 연기된 것으로 보인다. 해당 법안 발효 이후 이론적으로 최대 4150억 달러(약 470조원)가 암호화폐 시장에 유입될 수 있다. 하지만 현지 업계 전문가 팀 크로츠만은 독일 펀드가 초기에는 암호화폐를 20% 훨씬 아래로 할당하며 보수적인 스탠스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2021. 7. 30.
지난 8년간 거래소에 상장된 암호화폐 8950개…40%가 상장폐지 뉴스1에 따르면 지난 8년간 전 세계 암호화폐 거래소에 8950개의 암호화폐가 신규 등록(상장) 됐고, 이 중 약 40%가 폐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소에 상장된 암호화폐의 90% 이상은 3년을 넘기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30일 자본시장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가상자산 발행과 유통현황' 리포트를 발표했다. 상장 폐지된 암호화폐의 생존기간을 살펴보면 채굴가능한 암호화폐의 평균 생존기간은 21.5개월로 나타났다. 반면 비채굴·선채굴 암호화폐의 평균 생존기간은 14.1개월로 다소 짧은 것으로 조사됐다. 상장 폐지된 암호화폐의 생존기간 분포도를 살펴보면 상장 폐지된 암호화폐의 90.5%는 36개월을, 52.6%는 12개월을 넘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상장 후 60개월(5년) 이상이 경과된 암.. 2021. 7. 30.
7/30 암호화폐 뉴스 전세계 암호화폐 이용자, 6월말 기준 2.2억명 전세계 암호화폐 이용자가 6월말 기준 약 2.2억명을 기록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전세계 암호화폐 이용자 수는 6개월 만에 2배 가량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2월부터 5월까지 1억 600명에서 2억 300명으로 증가했다. 이 기간 얼트코인 보유 비중은 37%까지 증가했다. 미국 연준의장의 ‘인플레이션 상승’ 발언에 비트코인 시장 긍정적으로 반응 미국 크라켄 인텔리전스가 “제롬 파월(Jerome Powell) 미국 연준 의장이 FOMC 회의 이후 이어진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높게 당분간 상승할 것이라고 발언하자 비트코인 시장이 긍정적으로 반응했다”고 분석했다. 뱅크오브어메리카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 현금보다 효과적” .. 2021. 7. 30.
반응형